산입사원들은 대부분 연차 사용을 하기위해서 눈치를 보게되고, 그 때 처해있는 상황을 고려하게 된다.
이제는 눈치 보지말고 당연한 권리를 누릴때이다.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①만 1년이 되지 않은 근로자에게는 1개월 개근 시 연차가 1일씩 발생하고 ②만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 중 전년도에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는 15일 이상의 연차가 발생하며 ③전년도에 80% 미만 출근한 근로자는 전년도에 개근한 1개월 당 1일씩 연차가 발생한다. 한편 ②에 해당하는 연차에 대해서는 ‘연차유급휴가 사용촉진제도’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연차를 사용하도록 법에 따라 촉구하고 독려했음에도 근로자가 휴가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사용자가 연차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되는 제도다.
하지만, 개정 근로기준법은 위 유형 중 ①과 ③에 해당하는 연차에 대해서도 사용촉진제도를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③에 대해서는 기존 제도와 동일하게 사용촉진을 하면 된다. 다만 ①의 경우, 최초 1년간 근로가 끝나기 3개월 전을 기준으로 10일 이내에 남은 휴가 일수를 알려주고, 근로자가 사용 시기를 정해 사용자에게 통보하도록 서면 촉구하되, 촉구 후에 발생한 휴가는 최초 1년의 근로기간이 끝나기 1개월 전을 기준으로 5일 내에 촉진하면 된다.
더불어 ①유형 연차의 소멸시기도 변경됐다. 현행 근로기준법에 의하면 해당 연차는 1개월 개근시마다 매월 발생하고 근로자가 이를 사용하지 않으면 2년차에 매월 1개씩(발생일로부터 1년 후) 수당으로 전환된다.
그런데 개정법은 ①유형 연차의 경우 입사 후 만 1년이 되는 시점까지 사용하지 않으면 모두 수당으로 전환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개정법이 시행되면 근로자는 입사 후 최초 1년 동안 최대 11일의 연차휴가를 사용하고, 만 1년 동안 80% 이상 출근한 경우 2년차에는 15일의 연차휴가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1년 미만의 신입사원은 1개월 개근 시 유급휴가가 1일 발생되는 것이다.
(상시근로자수 5인 이상 사업장 적용된다.)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가 발생해 입사 1년간은 총 11일의 연차가 발생하게 된다. 입사 1년간은 총 11일의 연차가 발생하게 된다.
1년 미만 기간동안 1개월 개근시 1일씩 발생하는 연차휴가는 각 발생일(개근한 달의 다음날)로부터 1년 동안 사용 가능하다.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20.3.31. 이후 발생한 1년 미만 연차휴가는 각 발생일로부터 입사 1년 이내 사용 가능하다.
연차 사용 촉지제라는 것이있는데 아래와 같다.
연차 사용 촉진제란 근로자의 권리인 연차 유급휴가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연차 유급휴가의 사용기간이 만료되기 전 기업에서 근로자에게 잔여 연차 일수를 알려주고 사용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제도이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차사용촉진제도의 궁금한 점. (0) | 2021.01.18 |
---|---|
연차 사용 촉진제도란? (0) | 2021.01.18 |
육아수당, 육아수당 어떻게 달라질까? (0) | 2021.01.17 |
주휴수당이 없는 나라가 있을까? (0) | 2021.01.17 |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 계산법 (0) | 2021.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