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력을 높이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간단하게 지압을 꾸준히 해주거나 면연력에 도움을 주는 약초 또는 음식을 섭취하여 높이는 방법 등이 있다.
먼저 면역력에 도움이되는 지압법을 알아보겠다.
① 영향혈(迎香穴)
양쪽 콧방울과 팔자주름으로 부르는 콧방울 양 옆으로 난 주름의 중간 부위입니다. 정확하나 위치는 콧방울에 더 가깝습니다
영향(迎香)은 향을 맞이한다는 뜻입니다. 음식 냄새를 맡을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혈이 영향혈입니다. 알레르기 비염 등으로 코막힘이 있을 때 이 영향혈을 집게손가락(검지)으로 꾹꾹 누르거나 문지르면 스트레스 및 긴장완화에 도움을 줘서 면역력에 좋습니다. 아울러 폐‧코‧기관지 건강에도 도움이 됩니다.
지압법은 양쪽 영향혈을 손가락으로 가볍게 누른다거나 영향혈을 중심으로 위아래로 문질러도 된다.
② 대추혈(大椎穴)
대추혈은 고개를 앞으로 숙이면 제일 많이 튀어나오는 목뼈에 있습니다. 해부학적으로는 일곱 번째 목뼈 바로 아래입니다. 대추혈을 꾸준히 자극하면 면역력을 키워서 감기 예방 및 증상 완화에도 도움이 됩니다. 알레르기 비염 증상 완화에도 좋습니다.
지압법은 대추혈 주변을 손가락으로 꾹꾹 누른다거나 따뜻한 타월이나 찜질팩 등으로 온찜질을 한다. 샤워를 할 때 샤워기의 온수를 맞아도 된다.
③ 풍지혈(風池穴)
풍지혈은 목 뒤 중앙의 움푹 파인 곳에서 양쪽으로 4~5cm 떨어져 있는 오목한 곳입니다. 귓불 뒤쪽으로 튀어나온 머리뼈를 지나 머리카락과 목이 만나는 움푹 파인 곳이기도 합니다. 풍지혈의 풍(風)은 중풍, 지(池)는 제거한다는 의미로서 중풍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혈자리로 알려져 있습니다. 풍지혈을 지압하면 뒷목과 머리가 시원해지면서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됩니다.
지압법은 엄지나 검지손가락으로 지그시 누른다거나 가볍게 손가락으로 튕겨줘도 된다. 힘을 주어서 마사지하듯이 주물러주면 시원하다.
④ '백회혈(百會穴)’ & '사신총혈(사신총혈(四神聰穴)’
백회혈은 신체에서 가장 높은 머리의 정수리에 있는 혈자리입니다. 귀를 접었을 때 양쪽 귓바퀴 꼭대기를 연결하는 선과 얼굴을 좌우 반으로 나누는 선을 그었을 때 만나는 교차점입니다. 사신총혈은 백회혈을 중심으로 동서남북 방향으로 약 2.5cm 지점에 있는 혈자리입니다. 백회혈과 사진총혈은 머리의 대표적인 혈자리로서 스트레스를 줄이고 면역력을 키웁니다. 아울러 두통, 어지럼증, 중풍, 집중력 저하 개선 등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지압법은 지압하기 편한 손가락으로 지그시 꾹꾹 눌러주면 된다. 지압 순서는 백회혈, 앞뒤 사신총혈, 좌우 사신총혈이다.
다음으로는 면역력을 높여주는 약초이다.
1. 잔대
잔대(약재명 : 사삼)는 초롱꽃과에 속하는 식물로 뿌리를 약으로 쓴다. 심신을 튼튼하게 하고 기력을 왕성하게 하며, 폐를 맑게 하는 한편, 면역력 회복에 도움을 준다.
뿌리와 어린 순을 먹을 수 있는데, 따뜻한 차로 마시려면 물 500㎖에 깨끗이 씻은 뿌리 10g 정도를 넣고 끓인다. 입맛에 따라 설탕이나 꿀을 넣어 우려도 좋다.
2. 둥글레
둥굴레(약재명 : 옥죽)는 백합과에 속하는 식물로 뿌리줄기를 약으로 이용한다. 갈증을 멈춰 주고, 허약 체질을 개선하며 마른기침을 낫게 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피로와 원기 회복에도 효과적이다.
맛과 향이 우수해 차로 즐기기 좋은데 직접 끓일 때는 물 500㎖에 깨끗이 씻은 둥굴레 20g을 넣고 끓인다. 시중에 판매되는 차 제품을 이용해도 좋다.
3. 쑥
쑥(약재명 : 애엽)은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로 어린줄기를 약으로 쓴다. 복부와 자궁이 찬 것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물 500㎖l에 잘 말린 쑥 1g 분량을 우려내 마신다. 티백이나 망을 이용해 우려낸 후에는 재료를 건져낸다.
참고로 직접 쑥을 채취해 사용하려면 꽃 피기 전 줄기 윗부분의 싹과 잎을 뜯은 뒤,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말리면 된다.
다음편에서는 면역력을 높이는 식재료들을 살펴보겠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결로 방지 (0) | 2021.01.25 |
---|---|
겨울 면역력 높이는 법 2편 (0) | 2021.01.24 |
2021년 달라지는 정책 2편 (0) | 2021.01.23 |
2021년 달라지는 정책 1편 (0) | 2021.01.23 |
대한전선 어떤 기업인가? (0) | 2021.01.23 |
댓글